본문 바로가기
주식/국내증시

📈 2025년 4월 25일 국내 주식시장 마감 브리핑

by 해선와우도사 2025. 4. 25.

📈 2025년 4월 25일 국내 주식시장 마감 브리핑 


📝 오늘의 한줄 요약

📌 코스피는 건설·기계주 중심의 상승세에 힘입어 2,546선을 회복했고, 코스닥도 의료기기·바이오 테마주 강세로 동반 상승 마감했습니다.


📊 전체 시장 요약 (15:30 기준)

📌 이번 주 시장 성격 총평

이번 주 국내 시장은 외국인 수급 반등 조짐과 기관의 ETF 쏠림이 주요 흐름을 형성했습니다. 대형주보다는 테마·소형주 중심의 종목 장세가 뚜렷했고, 단기 재료 기반의 급등과 수급 순환매가 반복되는 구조가 강화되었습니다. 글로벌 이벤트를 앞둔 박스권 흐름 속에서도 개별주 수익 기회는 열려 있는 장세였습니다.


📈 수급 이슈 분석

2025년 4월 25일 국내 시장은 기관 중심의 수급 주도 속에서 건설·기계 섹터에 대한 강한 매수세가 두드러졌습니다. 외국인은 8개월 연속 이어진 매도세를 멈추고 선택적 순매수로 전환했으며, 개인은 여전히 코스닥 테마 종목에 적극적인 대응을 보였습니다.

  • 코스피: 2,546.30p (▲23.97p, +0.95%)
    → 거래대금: 약 8.9조 원
    → 수급 동향: 개인 -7,346억 / 외국인 +1,950억 / 기관 +4,976억
    → 건설기계, 방산, 중소형 소재 업종 중심 상승, 교육·지방건설 정책 기대감 반영
  • 코스닥: 729.69p (▲3.61p, +0.50%)
    → 거래대금: 약 9.7조 원
    → 바이오, 진단키트, 보안, 의료기기 관련 강세. AI 기반 기술주에도 일부 수급 유입

🌍 해외 시장 영향 및 환율 흐름

  • 미국 증시(전일): 다우 +0.15%, S&P500 +0.08%, 나스닥 -0.05%
    → 혼조세 속 안정 흐름, 기술주 중심 변동성은 여전
  • 환율: 1,423.0원 (▲4.3원 상승)
    → 외국인 수급에는 부담 요인, 수출 대형주에는 긍정 요인

🏦 외국인 수급 해석

외국인은 1,950억 원 순매수를 기록하며 8개월 연속 매도세를 일시 중단했습니다. 이는 환율 고착화, 금리 피크아웃 기대, ETF 리밸런싱 수요 등이 맞물린 결과로 해석됩니다. 단, 수급 반전이라기보단 부분적 조정 및 대형주 위주의 순환매 흐름으로 보입니다.

📌 주요 순매수 ETF:

  • KODEX AI반도체 (+317억 원)
  • TIGER 전기차 (+242억 원)
  • KODEX 건설기계 (+105억 원)

🏭 업종별 테마 흐름

  • 강세 업종: 건설, 기계, 방산, 보안, 바이오, 의료기기
  • 핵심 배경: 정부 정책 기대(지방 SOC, 바이오 국산화, ESG 확대), 중국 수출 기대, 자율주행·네트워크 장비 관련 수요 확대

🔝 상한가 종목 해설 및 루머 요약

종목명 상승률 특징 및 루머 요약

자이글 +30.00% 헬스케어 가전 테마, 홈트렌드 수요 회복 기대감
대호특수강우 +30.00% 철강·조선기자재 테마, 방산 관련 수요 기대감
애경케미칼 +29.99% 전해질 소재, 2차전지 테마 수급 집중
에스큐어 +29.97% 보안 소프트웨어 수요 확대, 스마트시티 기대감
영흥 +29.97% 저평가 인식, 철강 원자재 가격 반등 수혜주 부각
삼륭물산 +29.95% ESG 포장재 정책 기대감, 신규 수출 계약 루머
큐라티스 +29.95% 결핵백신 개발 기대감, 임상 관련 루머 부각
인바이오젠 +29.93% 항암 유전자 치료제 관련 이슈, 기술이전 기대감
마이크로투나노 +29.91% 반도체 소재 국산화 테마, 공급 확대 기대감

※ 상한가 종목 대부분은 뉴스 또는 정책 관련 루머 기반의 단기 급등 사례로, 재료 소멸 시 차익 매물 집중 우려 존재


🔍 상한가 종목 기술적 분석 (일부 종목 예시)

  • 애경케미칼: 저항선이었던 9,500원 돌파 이후 거래량 동반 급등. 이틀 연속 장대 양봉 발생하며 11,000원 돌파 시 중기 추세 전환 가능성
  • 큐라티스: 바닥권 700원대에서 급등 후 박스권 돌파. 1,000원 초반대의 지지 여부가 단기 랠리 지속 여부 결정

📊 ETF 및 테마 수급 방향

  • 기관은 KODEX AI반도체, TIGER 전기차, KODEX 건설기계 ETF 중심으로 포트폴리오 확대
  • 테마 흐름은 AI·보안·바이오·에너지 중심. 중소형 고성장주에 대한 선택적 수급 확인
  • 개인은 코스닥 테마 위주로 강하게 진입, 단기 모멘텀 종목군은 변동성 확대 주의 필요

📅 다음 주 주요 일정 및 전략

  • 4월 26일(금): 한국 무역수지 발표 (반도체 수출 흐름 주목)
  • 4월 29일(월): FOMC 통화정책회의 (금리 동결 vs 인하 가능성)
  • 5월 초: 미국 고용지표 발표 예정 (연준 방향성 판단 핵심 변수)

📌 대응 전략:

  • 단기 급등 종목군에 대한 이익 실현 전략 병행 (특히 루머 기반 급등 종목 주의)
  • ETF 수급 연속성 확인 → 관련 종목 눌림목 접근 고려 (고점 매수 피하기)
  • FOMC 전후 환율·금리 급변 가능성 → 방어 섹터 비중 유지 병행 (예: 보험·통신 등)

🧭 투자자 행동 TIP (3줄 요약)

✅ ETF 수급 강세 종목은 눌림목 진입 전략 유효 (예: KODEX AI반도체, TIGER 전기차)
✅ 상한가 종목은 재료 지속성 확인 후 빠르게 대응. 급등 후 고점 매수는 금지
✅ 5월 초까지 주요 이벤트 다수 예정 → 현금 비중 30~40% 유지 권장


📌 본 자료는 투자 참고용이며, 최종 투자 판단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반응형